Ikkuna Itään, Joensuu Art Museum 2023

Ikkuna Itään (Window to the East)
동창 (東窓)

2023
pine, mulberry paper
total 250 x 150 cm (150 x 50cm each)

For Westerners, East easily translates to the Far East. From a Korean perspective, however, the USA (read: the West) is situated in the East. The Finnish title of the work, Ikkuna Itään, is borrowed from a Chinese state run (propaganda) program on Finnish radio, promoting Chinese culture.

This work originates in our own confusion with how to place ourselves in the world. We are neither Korean nor do we feel comfortable with the label of West - which has become almost synonymous with the USA.
The inevitable inter-cultural influencing (sometimes called cultural appropriation or cultural toadyism) of the globalised world doesn’t seem to fit with the nationalistic discourses that are built around them.

It is within this confusing landscape, where overreaching terms like East and West feel increasingly inaccurate descriptions that we make use of the traditional Korean window frame, its design, materials and patterns while turning them into an American flag.

우리나라의 창호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최근의 정치적 스캔들과 세대간의 극명한 대립 속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성조기를 토대로 하였습니다.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분노하는 부모세대의 모습에서, 우리는 미국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바탕으로 반북이념과 경제성장을 이루어낸 과거와 현재를 볼 수 있습니다. 그 뿌리 속에서 튼튼하게 자란 독특하게 해석된 서양의 미를 바탕으로 한 문화경제는 한국인이 일하고 소비하는 삶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었습니다. 지리학적으로 서구의 나라들이 동북아시아를 일컬을때 EAST 라고 지칭하지만 우리의 동쪽엔 미국이 자리잡고 있는 것은 재미있는 사실입니다.